아연은 우리가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량 무기질로서,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서만 흡수가 가능하다. 아연 일일섭취량은 어떻게 될까?
아연 일일섭취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아연 일일 권장 섭취량>
① 남성
- 6세~8세 : 하루 6mg
- 9세~14세 : 하루 8mg
- 15세~49세 : 하루 10mg
- 50세 이상 : 하루 9mg
② 여성
- 6세~8세 : 하루 5mg
- 9세~14세 : 하루 8mg
- 15세~18세 : 하루 9mg
- 19세~49세 ; 하루 8mg
- 50세 이상 : 하루 7mg
③ 임신한 여성
여성의 연령대 섭취량에서 2.5mg 추가
④ 수유 중인 여성
여성의 연령대 섭취량에서 5mg 추가
⑤ 유아
- 1세~2세 : 하루 3mg
- 3세~5세 : 하루 4mg
<일일 아연 섭취 상한선>
- 14세 이후 남성 : 하루 40~45mg
- 14세 이후 여성 : 하루 30~35mg
<아연의 역할>
① DNA를 생산하고, 면역력과 기억력을 증진시킨다.
② 피부를 보호하고, 상처와 염증을 치유한다.
③ 인슐린 조절로 혈당을 안정시켜 당뇨를 개선해준다.
④ 성장 발육을 촉진시키고, 체내의 각종 효소를 활성화시켜 주며, 심혈관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준다.
<아연 부족시 증상>
① 시력 저하, 미각 이상, 체중 감소, 피곤함, 거품 소변, 갈증, 당뇨 악화, 손발저림, 상처회복
지연, 잇몸 염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② 피부 트러블, 탈모, 이명, 청력 저하, 빈혈, 남성 불임, 2차 성징 지연, 천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③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비염, 알레르기성결막염, 만성전립선염, 식욕 저하, 설사, 성장
발육 지연, 신경장애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아연 과다시 증상>
① 구역, 구토, 식욕저하, 위경련, 두통, 설사 등이 유발될 수 있다.
② 아연에 의해 구리와 철분의 장내 흡수가 방해되면서 면역력 저하, 빈혈, 골다공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아연이 결핍되기 쉬운 사람>
임산부, 수유부, 영양결핍자, 알콜중독자, 당뇨환자, 암환자, 크론병환자, 흡수장애환자,
간질환환자, 채식주의자, 신장질환환자 등
<아연 보충 방법>
① 식품 섭취를 통한 보충
아연이 풍부한 식품인 콩류, 참깨, 육포, 쇠고기, 달걀 노른자, 조개류, 치즈, 분유, 굴, 멸치,
게, 오징어, 장어, 잣 등을 꾸준히 섭취한다.
② 아연보충제 복용을 통한 보충
식품 섭취를 통해 아연이 제대로 보충되지 않을 경우는 의사의 진단과 처방을 받아 아연
보충제를 복용한다. 끝.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웃음 효과의모든것 간략 설명 (0) | 2020.05.21 |
---|---|
칼슘이 부족하면 나타나는 증상 (0) | 2020.05.06 |
물 2리터 마시기 효과 간략 설명 (0) | 2020.04.28 |
대상포진 전염되나 (0) | 2020.03.22 |
몸이 무거운 이유 뭘까 (0) | 2020.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