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아연 일일섭취량 상식

청령포 2020. 5. 2.

아연은 우리가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량 무기질로서,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서만 흡수가 가능하다. 아연 일일섭취량은 어떻게 될까?

아연 일일섭취량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아연 일일 권장 섭취량>

① 남성

- 6세~8세 : 하루 6mg

- 9세~14세 : 하루 8mg

- 15세~49세 : 하루 10mg

- 50세 이상 : 하루 9mg

 

② 여성

- 6세~8세 : 하루 5mg

- 9세~14세 : 하루 8mg

- 15세~18세 : 하루 9mg

- 19세~49세 ; 하루 8mg

- 50세 이상 : 하루 7mg

 

 

③ 임신한 여성

여성의 연령대 섭취량에서 2.5mg 추가

 

④ 수유 중인 여성

여성의 연령대 섭취량에서 5mg 추가

 

⑤ 유아

- 1세~2세 : 하루 3mg

- 3세~5세 : 하루 4mg

 

 

<일일 아연 섭취 상한선>

- 14세 이후 남성 : 하루 40~45mg

- 14세 이후 여성 : 하루 30~35mg

 

 

<아연의 역할>

① DNA를 생산하고, 면역력과 기억력을 증진시킨다.

 

② 피부를 보호하고, 상처와 염증을 치유한다.

 

③ 인슐린 조절로 혈당을 안정시켜 당뇨를 개선해준다.

 

④ 성장 발육을 촉진시키고, 체내의 각종 효소를 활성화시켜 주며, 심혈관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준다.

 

 

<아연 부족시 증상>

① 시력 저하, 미각 이상, 체중 감소, 피곤함, 거품 소변, 갈증, 당뇨 악화, 손발저림, 상처회복

지연, 잇몸 염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② 피부 트러블, 탈모, 이명, 청력 저하, 빈혈, 남성 불임, 2차 성징 지연, 천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③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성비염, 알레르기성결막염, 만성전립선염, 식욕 저하, 설사, 성장

발육 지연, 신경장애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아연 과다시 증상>

① 구역, 구토, 식욕저하, 위경련, 두통, 설사 등이 유발될 수 있다.

 

② 아연에 의해 구리와 철분의 장내 흡수가 방해되면서 면역력 저하, 빈혈, 골다공증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아연이 결핍되기 쉬운 사람>

임산부, 수유부, 영양결핍자, 알콜중독자, 당뇨환자, 암환자, 크론병환자, 흡수장애환자,

간질환환자, 채식주의자, 신장질환환자 등

 

 

<아연 보충 방법>

① 식품 섭취를 통한 보충

아연이 풍부한 식품인 콩류, 참깨, 육포, 쇠고기, 달걀 노른자, 조개류, 치즈, 분유, 굴, 멸치,

게, 오징어, 장어, 잣 등을 꾸준히 섭취한다.

 

② 아연보충제 복용을 통한 보충

식품 섭취를 통해 아연이 제대로 보충되지 않을 경우는 의사의 진단과 처방을 받아 아연

보충제를 복용한다. 끝.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