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사자성어 모음 가족과 관련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가족 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1. 가화만복(家和萬福)집안이 화목하면 만복의 근원이 됨. 2.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됨. 3. 경전서후(耕前鋤後)남편은 앞에서 밭을 갈고 아내는 뒤에서 김을 맨다는 말로, 부부가 서로 극진하게 도우며 일함을 뜻함. 4. 경애화락(敬愛和樂)서로 존경하고 사랑하며 화합하면서 즐겁게 삶. 5. 금지옥엽(金枝玉葉)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란 말로, 아주 귀한 자손을 뜻함. 6. 내조지공(內助之功)아내가 집안을 잘 다스려 남편을 도움. 7. 망운지정(望雲之情)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그리는 마음. 8. 백유지효(伯兪之孝)어버이에 대한 지극한 효심을 뜻함. 9. 부로휴.. 성어속담 2021. 4. 23. 사랑에 관한 사자성어 사랑에 관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사랑에 관한 사자성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1. 상사불망(相思不忘) 사랑하는 남녀(男女)가 서로 그리워해 잊지 못함을 뜻함. 2. 색수혼여(色授魂與) 서로 마음이 맞아 정이 오감을 뜻함. 3. 심심상인(心心相印) 서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이 통함을 뜻함. 4. 연모지정(戀慕之情) 이성을 사랑하여 간절히 그리워하는 마음. 5. 연연불망(戀戀不忘) 그리워서 잊지 못함. 6. 염념불망([念念不忘) 자꾸 생각이 나서 잊지 못함. 7. 애지중지(愛之重之) 너무나 사랑하고 소중히 여김. 8. 옥오지애(屋烏之愛) 어떤 사람을 사랑하면 그 사람의 집 지붕에 있는 까마귀까지도 사랑스럽게 보인다는 말로, 깊은 사랑을 뜻함. 9. 운우지정(雲雨之情) 남녀 사이에 육체.. 성어속담 2021. 4. 17. 친구관련 사자성어 모음 친구와 관련된 사자성어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친구관련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간담상조(肝膽相照)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보인다는 말로서, 서로 마음을 터놓고 사귄다는 의미. - 교우이신(交友以信) 세속오계에 나오는 말로서, 믿음으로 친구를 사권다는 의미. - 관포지교(管鮑之交) 관중과 포숙아의 우정처럼 친구를 위해 베푸는 두터운 우정을 의미. - 교칠지교(膠漆之交) 아교풀로 붙이고 그 위에 옻칠을 하면 서로 떨어지지 않는 것처럼 너무나 친해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사이라는 의미. - 금란지교(金蘭之交) 쇠처럼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가 나는 사이라는 의미. - 금석지교(金石之交) 쇠와 돌이 단단한 것처럼 서로 믿음이 단단한 사이라는 의미. - 단금지교(斷金之交) 쇠붙이를 끊을 수 있을 정도로 .. 성어속담 2021. 4. 15. 호연지기 뜻 및 유래 孟子(맹자)에 전해오는 고사성어 호연지기는 무슨 뜻일까? 호연지기 뜻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원기'라는 말로 '사람의 마음에 가득 차 있는 올바른 기운'을 뜻한다. 다시 말해 '사람의 마음이 넓고 정의로운 기운으로 가득 차 있는 것' 즉 '옳고 너그러우며 수양된 반듯한 기개를 지닌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문으로는 浩然之氣(호연지기)로 적으며, 개별 한자의 뜻은 (浩 : 클 호) (然 : 그러할 연) (之 : 갈 지) ((氣 : 기운 기)이다. 사상가인 맹자에게 제나라 사람인 제자 공손추가 와서 물었다. "저는 선생님께서 제나라 재상이 된다면 분명히 제나라가 천하를 차지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선생님께서도 이런 생각을 하십니까?" 맹자는 "나이 40이 넘어서는 마음이 흔들.. 성어속담 2020. 9. 30. 잘못을 뉘우침 사자성어 자신의 잘못을 깨닭게 되면 후회하고 반성하며 올바르게 살려고 노력하게 되는데, 잘못을 뉘우친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잘못을 뉘우침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1. 개과천선(改過遷善) 중국 진서의 본전에 전해오는 사자성어로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한 사람으로 거듭난다'는 뜻이다. 우리는 악날하거나 범죄를 저지르던 사람이 착하고 바르게 살게 되면 '개과천선'했다고 말한다. 2. 회개지심(悔改之心) 잘못을 뉘우치고 고치려는 마음을 뜻한다. 3. 회과천선(悔過遷善)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회과천선은 '개과천선'과 같은 뜻이다. 4. 개과자신(改過自新) 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하게 되었음을 뜻한다. 개과자신 역시 '개과천선.. 성어속담 2020. 7. 2. 소귀에 경읽기 뜻 소귀에 경읽기 사자성어 우리나라에는 소귀에 경읽기라는 속담이 있는데, 소귀에 경읽기는 어떤 뜻일까? 소귀에 경읽기 뜻과 소귀에 경읽기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아무리 열심히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즉, 소의 귀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소가 알아듣지 못하는 것처럼 사람이 소처럼 제대로 알아듣지 못함을 뜻하는 말이다. 아무리 열심히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이해하지 못한다면 가르치는 사람은 얼마나 답답할까? 소귀에 경읽기의 사자성어는 '우이독경'이다. 우이독경(牛耳讀經)은 '소귀에 경읽기'라는 의미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함을 이르는 사자성어이다. 우이독경의 한자는 牛耳讀經이며, 개별한자의 뜻은 (牛 : 소 우) (耳 : 귀 이) (讀 : 읽을 독) (經 : 글 경)이다. * 우.. 성어속담 2020. 3. 30. 이전 1 ···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