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촌형의 아내 호칭 사촌형의 아내는 뭐라고 불러야 할까요? 사촌형의 아내 호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촌형의 아내는 '형수' 또는 '형수님'으로 불러야 합니다. ① 형수(兄嫂)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남자들 사이에서 형의 아내를 부르거나 이르는 말입니다. ② 형수님 '형수'를 높여 부르거나 이르는 말입니다. 즉, '형수(님)'는 친형이나 사촌형, 육촌형, 팔촌형의 아내를 호칭하거나 지칭할 때 사용하는 말인 것입니다. 또 서로 가까이 지내는 남자끼리 형뻘이 되는 사람의 아내를 정답게 부르거나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1. 본인이 형일 때 본인이 형인 경우 사촌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는 '제수씨' 또는 '계수씨'라고 불러야 합니다. ① 제수씨(弟嫂氏) 남자 형제 사이에서,.. 생활상식 2023. 5. 1. 한약 한재는 몇첩 한약 한재는 몇첩일까요? 한약 한재는 몇첩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약 한재는 스무첩입니다. 즉, 20첩이라는 것입니다. - 한약 한 재 : 스무 첩(20첩) - 한약 반 재 : 열 첩(10첩) (예) 오늘 한약방에서 한약 한 재를 샀다. (예) 할머니께서는 한약 한 재를 사오셨다. (예) 한약 한 재의 값이 30만원이다. (예) 한약 한 재를 달여서 30포를 만들었다. 한약 한재(20첩)를 달이면 보통 30포를 뽑는데요, 하루에 세 번씩 복용할 경우 10일간 복용할 수 있습니다. '첩(貼)'이란 약봉지에 싼 한약의 뭉치를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따라서 한약 한첩은 한약 1봉지를 뜻합니다. - 오징어 한 축 : 20마리 - 청어 한 두름 : 20마리 - 조기 한 두름 : 20마리 - 미역 한.. 생활상식 2023. 4. 3. 당숙 촌수 당숙 아들 촌수 본인과 당숙 사이는 몇촌간일까요? 또 당숙 아들과 본인과는 몇촌간일까요? 당숙 촌수, 당숙 아들 촌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본인과 당숙과는 5촌간입니다. 당숙(堂叔)이란 본인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뜻합니다. 본인과 본인의 아버지와는 1촌간이므로 본인과 당숙과는 5촌간이 되는 것입니다. - 본인과 본인 아버지와는 1촌간 - 본인의 아버지와 당숙과는 4촌간 - 본인과 당숙과는 5촌간 '당숙'과 같은 의미를 지닌 말로는 '종숙'이 있습니다. 종숙(從叔)은 아버지의 사촌 형제를 뜻하는 말입니다. 참고로 본인은 당숙에게 종질이 됩니다. 종질(從姪)이란 사촌 형제의 아들을 뜻하는 말입니다. 본인과 당숙의 아들과는 6촌간입니다.본인과 당숙과는 5촌간이며, 당숙과 당숙의 아들과는 1촌간이므로, 본인과 당숙의 아들과는.. 생활상식 2023. 3. 20. 장인 호칭 장인은 아내의 아버지를 뜻하는 말인데요, 장인과 의미가 같은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장인 호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장인어른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높여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 2. 처부(妻父) 아내의 아버지(장인)를 이르는 말. 3. 악공(岳公) 예전에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흔히 편지글에서 많이 썼다) 4. 악부(岳父) 예전에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흔히 편지글에서 많이 썼다) 4. 악옹(岳翁) 예전에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흔히 편지글에서 많이 썼다) 5. 악장(岳丈) 예전에 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흔히 편지글에서 많이 썼다) 6. 빙부(聘父) 다른 사람의 장인을 이르는 말. 7. 빙장(聘丈) 다른 사람의 장인을 이르는 말. 8. 빙장어른 다른 사람의 장인을 높여 이르는.. 생활상식 2022. 4. 1.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가친(家親)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2. 엄군(嚴君) 남에게 자기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3. 엄친(嚴親)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4. 엄부(嚴父)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5. 가존(家尊) 자기 아버지나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6. 가대인(家大人)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7. 가군(家君) 남에게 자기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8. 가부(家父)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9. 가엄(家嚴)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1. 선친(先親) 남에게 돌아가신 자기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2. 춘.. 생활상식 2022. 3. 30.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식물 집안의 공기를 깨끗하게 해주는 식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식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1. 벤자민 그늘에서 잘 자라는 벤자민은 겨울철 인기 화초인데, 실내의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거실 창가로부터 2~3m 떨어진 곳에 놓아두고 기르면 된다. 2. 국화 국화의 향은 공기 중 유독가스와 암모니아를 흡수하며, 피로해진 눈에 활력을 주고, 전자파로 인한 두통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침실 헤드나 사이드 테이블 위에 놓아두고 기르면 된다. 3. 행운목 먼지를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해 기관지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패브릭 제품이 많은 곳에 두고 기르면 미세먼지까지도 제거할 수 있다. 4. 로즈마리 로즈마리의 은은한 향은 음식 냄새나 습기를 제거해준다. 햇볕이 잘드.. 생활상식 2021. 7. 25. 남의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 남의 어머니를 높여 부를 때는 어떤 말을 사용해야 할까? 남의 어머니를 높여 부르는 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로는 '자당(慈堂), 당로(堂老), 대부인(大夫人), 모당(母堂), 훤당(萱堂), 모부인(母夫人), 북당(北堂), 존당(尊堂), 영모令母) 등이 있으며, 그 중 자당(慈堂)과 대부인(大夫人)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 자당께서도 안녕하시지요? (예) 자당께서는 별고 없으시지요? (예) 저 분이 선생님의 자당이시다. (예) 대부인께서도 안녕하시지요? (예) 대부인을 뵙고 절을 올렸다. - 자당(慈堂)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대부인(大夫人)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당로(堂老) 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 모당(母堂) 남의 어머니를 높.. 생활상식 2021. 5. 23. 이전 1 2 3 4 5 6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