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공복에 우유를 마시면 안되는 이유

청령포 2020. 7. 24.

아침 대용으로 공복에 우유를 마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공복에 우유를 마시면 안됩니다.

공복에 우유를 마시면 안되는 이유는 뭘까요?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공복에 우유를 마시면 안되는 이유>

공복에 우유를 마시면 우유에 함유된 칼슘과 카제인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위산 분비를

촉진시켜 위산이 위벽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우유 자체는 알칼리성이므로 일시적으로 위의 산성을 중화해 주지만, 공복에 우유를

마시면 우유에 함유된 칼슘과 카제인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위산 분비를 증가시키고

증가한 위산이 위벽을 자극하면서 속쓰림이 유발될 수 있다.

 

 

또 위염이나 위궤양과 같은 위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위장질환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공복에 우유를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바쁜 일상으로 인해 어쩔 수 없이 우유를 마시는 경우라면 빵이나 시리얼, 견과류 등과

같은 간단한 음식을 함께 먹는 것이 좋으며, 위염이나 위궤양 등으로 위장의 기능이

좋지않은 사람은 일반 우유보다는 지방이 적은 저지방 혹은 무지방 우유를 마시는 것이

좋다.

 

 

<공복에 바나나를 먹으면>

바나나는 마그네슘 함량이 높은 음식이므로 공복에 바나나를 먹으면 체내의 마그네슘

수치가 높아지면서 혈액 속의 칼륨과 불균형을 이루어 심혈관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공복에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바나나는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저녁식사 후에 먹으면 숙면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공복에 커피를 마시면>

공복에 커피를 마시면 커피의 카페인이 하부식도괄약근을 자극해 위산과 음식물이

역류할 수 있기 때문에 공복에는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끝.

댓글